목사 정년 연장엔 ‘반대’ 우세 “중한 문제 따로 있다”

목회데이터연구소 평신도 500명 설문
“찬반론 떠나 연장 조건부터 합의해야”

 

2_정년반대.jpg

 


‘목회자 정년 연장’을 둘러싼 평신도들의 중론은 반대였다. 정년 연장 의제엔 목회자들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민일보 2023년 9월 25일자 34면 참조). 하지만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통합 총회를 비롯해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등 주요 교단 내부에선 정년 연장에 대한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분법적 찬반론에 갇히면 논의는 지금처럼 지지부진할 것”이라며 “나이를 떠나 목회직 연장의 조건을 합의하는 과정이 우선”이라고 조언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2일까지 2주간 평신도 500여명을 대상으로 목회자 정년 연장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었다. 설문결과 “정년을 줄여야 한다”(47.1%)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현재(70세)가 적당하다”(39.6%)가 뒤를 이었다. 10명 중 8명 이상이 정년 연장에 반대한 셈이다. 목회자 정년 연장에 동의한 평신도는 10명 중 1명 미만(9.3%)이었고 4%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교단을 대표하는 목회자·장로 총대들도 정년 연장엔 반대 목소리가 더 컸다. 지난해 국민일보가 목사·장로 총대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약 10명 중 6명(58.9%)이 정년 연장에 반대했다. 정년 연장에 찬성하는 총대는 10명 중 3명(30.3%)에 그쳤다.

 

 

 

 
 

 


정년 연장을 반대하는 이유엔 ‘세대교체론’이 빠지지 않는다. 젊은 목회자들에게 목회 리더십을 넘겨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우리나라 법적 정년인 만 60세보다 보통 10년이 긴 목회자 정년에 대한 반발도 적지 않다. 하지만 찬성 측에선 “규모가 작은 교회는 목회를 이어받을 차세대 목회자가 없다”며 정년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교회생태연구네트워크 대표 한경균 목사는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년 연장을 둘러싼 찬반론을 뛰어 넘는 일이 한국교회의 선행 과제”라고 진단했다. 한 목사는 “나이라는 일률적인 기준 안에서 정년을 논하기보다 적격 여부 안에서 연장을 따지는 편이 합리적”이라며 “미국장로교(PCUSA) 호주연합교회(UCA) 뉴질랜드(PCANZ) 목회자들에겐 정해진 정년 자체가 없다. 신학적으로 문제가 없고 체력적으로 건강할 때 노회가 조건부로 목회직 연장을 허용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호주 뉴질랜드 목회자들은 2년 주기로 목회 평가를 받는다. 목회자 사례비 역시 시무 시간에 맞춰 책정된다”며 “시니어 목회자들이 목회를 이어갈 조건부터 합의하는 게 한국교회 과제”라고 조언했다.

한국교계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