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대선이남긴것.JPG

▲ 7일 미시간주 유세장의 도널드 트럼프 새 미국 대통령 당선인


8일 열린 미국 대선이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으로 막을 내렸다.


지난해 3월 공화당 테드 크루즈(텍사스) 상원의원의 출마선언을 계기로 첫 신호탄을 쏴 올린 대선 레이스는 597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하고 미 역사상 첫 '아웃사이더 대통령', '부동산 재벌 대통령'을 배출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그야말로 대이변이다.


변화의 충격파 측면에서만 보면 8년 전 첫 흑인 대통령을 배출했을 때에 비해 절대 뒤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파란', '이변'으로 불리는 이번 대선은 성난 민심의 현주소와 더불어 부끄러운 민낯도 그대로 드러냈다.


'아웃사이더' 돌풍으로 대변된 주류 기득권층에 대한 미국인들의 분노와 변화·개혁 열망, 경제위기와 맞물린 고립주의와 보호무역주의 기조, 선거 과정에서 트럼프 당선인과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의 '치부' 등이 그것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이들 현상과 문제점을 어떻게 국정에 반영하고 바로잡을지에 '트럼프정부'의 성패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웃사이더 열풍이 

보여준 변화와 개혁 열망


이번 대선의 가장 큰 특징은 누가 뭐래도 아웃사이더 돌풍이다.

공화당에 전혀 기반이 없고 지지율도 고작 1∼2%에 불과했던 트럼프가 지난해 6월 대선 출마를 선언했을 당시만 해도 대부분 사람은 그를 비웃은 게 사실이다.


민주당에서도 지난해 4월 무소속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이 클린턴에게 도전장을 냈을 때 미 언론조차 가능성 '0'라며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워싱턴 정가와 기득권을 겨냥한 두 사람의 직설적인 비판과 개혁 요구에 성난 유권자들은 기다렸다는 듯 열광하면서 큰 지지를 보냈고, '찻잔 속에 태풍'으로 그칠 것 같았던 이들의 돌풍은 그야말로 초대형 태풍으로 부상해 초반부터 대선판을 뒤집어놓았다.


당장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첫날부터 워싱턴 정가의 기득권과 기존 질서를 깨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위기 속 고립주의와 

보호무역 기조 뚜렷


이번 대선이 남긴 또 하나의 큰 흔적은 바로 '신(新) 고립주의'와 보호무역 기조다.


민주, 공화 양당 모두 경선과정에서부터 아웃사이더가 거센 돌풍을 일으키면서 미국의 기존 가치와는 다른 고립주의와 보호무역주의가 유권자들에게 어필하면서 대세를 형성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이 공화당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이런 기조는 더욱 굳어졌다.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는 트럼프 당선인은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변방으로 밀리고 있다는 위기감을 가진 백인 서민층의 표심을 잡기 위해 멕시코 국경지대에 불법 이민자 차단을 위한 거대한 장벽을 건설하고 미국 내 불법 이민자들을 취임 즉시 추방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해 톡톡히 재미를 봤다.


또 점증하는 테러 위협 속에 모든 무슬림의 입국을 금지하겠다는 극단적 공약으로 강경 극우세력의 지지를 모았고 스스로 '역사상 최악의 무역협정'으로 규정한 북미자유무역협정(나프타)과 더불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카드로 백인 서민층 노동자들의 환심을 샀다.


또 동맹의 '안보 무임승차론'을 끊임없이 제기하면서 방위비 분담금을 대폭 증액하고 이에 응하지 않은 동맹에 대해서는 미군을 철수할 수도 있다고 공언해 왔고, 유엔에 내는 기후변화 분담금도 내지 않고 그 돈을 미국경제에 투입하겠다고 천명했다.


이 모든 것이 동맹과 민주주의를 보호하는 '세계 경찰'의 역할을 포기하고 미국 국민부터 챙기겠다는 미국 우선주의, 이른바 신고립주의에 기반한 것으로, 이는 비록 미국이 구축해 온 전후질서와 동맹체제의 근간을 부리째 뒤흔드는 것이지만 미국 유권자 사이에선 큰 호응을 얻었다.


베이지역교계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