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면_무연고자 장례.jpg

 

 

 

 

▲  시민들이 지난 8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원중앙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수원 세 모녀’의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수원 세 모녀는 지병과 생활고를 겪다 자택에서 숨진채 발견됐다.

 

불과 두 달 전 많은 이를 안타깝게 한 죽음이 있었습니다. 

'수원 세 모녀' 사망 사건을 기억하시나요. 어머니는 항암치료를 받고 있었고, 두 딸은 희소 난치병을 앓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병원비는 물론 월세 40만원을 제때 내지 못할 만큼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렸습니다. 

결국 세 모녀는 세상에 작별을 고했습니다.

2년 전 남편과 아들을 지병으로 먼저 떠나보낸 세 모녀의 마지막을 지킨 건 친척도 친구도 아니었습니다. 

이들이 생전 주소지를 두고 있던 수원시였습니다. 

수원시는 이들 세 모녀의 공영 장례를 치렀습니다.

수원시의 공영 장례 시스템은 이렇습니다. 

무연고 사망자의 종교가 확인되면 해당 종교예식으로 장례를 집전합니다. 

종교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기독교 천주교 불교 원불교가 분기별로 돌아가면서 추모 예식을 집전합니다. 

전국의 다른 지방자치단체들이 치르는 무연고 장례식 절차도 대동소이합니다. 

몇몇 지자체는 종교예식을 도입해 공영 장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시의 무연고 사망자 장례를 담당하는 비영리법인 나눔과나눔(이사장 배안용 목사) 관계자의 하소연에 마음 한켠이 불편했습니다. 

다른 종교에 비해 유독 기독교의 장례 섭외가 힘들다는 것이었습니다. 

기독교가 신학적 부분을 따지며 장례 집전을 거절한다는 얘기였습니다.

현역 목회자인 A목사에게 '신학적으로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되느냐'고 물었습니다. 

A목사는 "기독교는 (기본적으로) 살아있는 자를 위한 종교다. 죽음 이후가 아닌 살아있을 때가 중요한 종교다. (장례 집전은) 목회 차원에서 유가족을 위로하기 위함이지 죽은 자를 위해 기도하는 건 신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 집전이 적절치 않다는 논리였습니다.

이에 대해 배안용 나눔과나눔 이사장은 11일 "삶을 잘 마무리할 수 있는 권리는 기본적인 인권이다. 무연고자의 종교가 확인된다면 애당초 무연고자로 분류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무연고 장례는) 신학적 관점에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넓은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노숙인에게 무료급식을 나눠줄 때 종교를 묻지 않듯, 무연고 장례도 마찬가지"라며 "우리 모두는 이 세상의 청지기(관리자)로 부름받았다. (청지기로서) 약한 자들에게 더 나은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무연고자는 말 그대로 아무 연고 없이 쓸쓸하게 인생의 마지막을 맞이한 사람입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무연고 사망자는 3603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2013년(1280명)보다 3배 가까이 늘었고, 올 상반기에만 2314명의 무연고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들에게 신학적 잣대만으로 장례 집전을 거부하는 것이 과연 기독교적인 사랑일까요.

소외 이웃을 향한 진정한 사랑은 무엇일까요.

 

한국노컷뉴스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