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령중앙협의회와 한국기독교성령100주년기념사업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신학 심포지엄에서는 고 한경직 목사와 옥한흠 목사, 하용조 목사 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장로교 총회설립 100주년을 맞아 한국 장로교회가 낳은 세계적인 목회자들을 조명하는 심포지엄이 열려 관심을 모았다.
사단법인 한국성령중앙협의회와 한국기독교성령100주년기념사업회가 29일 서울 연세대학교 신학관에서 한국장로교 총회설립 100주년을 기념해 마련한 신학심포지엄에서는 고인이 된 고(故) 한경직 목사를 비롯해서 옥한흠 하용조 목사, 그리고 현존하는유일한 목회자인 명성교회 김삼환 목사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다.
먼저 발제를 맡은 연세대학교 최재건 박사는 청교도적인 생활과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운동을 균형있게 조화를 이룬 한경직 목사야말로 세계에 한국교회 목회자상을 세운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한경직 목사는 특히 '오천만을 그리스에게로' 란 표어로 전국복음화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전군신자화운동, 학교설립을 통한 학원선교 등 한국교회 성장에 지대한 공헌을 하면서도 청빈한 삶을 살았다고 덧붙였다.
고(故) 옥한흠 목사를 평가한 총신대학교 심창섭 교수는 파라처치(선교단체)에서 하던 제자훈련을 교회로 끌어들여 평신도의 사도직을 일깨워 한국교회 갱신을 위해 일생을 바친 인물이라고 평했다.
옥한흠 목사는 특히 서울 강남의 대표적인 대형교회를 일궜음에도 불구하고옥 목사가 추구한 것은 숫자가 아닌 교회를 교회답게 하는 것이었다고 분석했다.
이어진 발제에서 서울장신대학교 문성모 박사는 큐티와 일대일 양육을 한국교회에 정착시킨 하용조 목사는 경배와 찬양을 도입해 한국교회 예배문화를 바꿨고 교회와 파라처치를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정립했다고 평가했다.
또 유일하게 현존하는 목회자로 평가를 받은김삼환 목사에 대해서는 머슴론과 새벽기도로 명성교회를 세계 제일의 장로교로 이끈 인물이라고 평했다.
소강석 목사는 다만 현재 한국교회의 WCC 총회 논쟁을 지켜보면서 총회유치 전에 보수적인 지도자들과 사전에 교감을 갖지 못한 점은 아쉬운 대목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심포지엄은 4명의 목회철학을 통해서 오늘날의 목회자가 걸어가야 할 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다는 평가이다.
한국교계기사보기
523 | 사랑의교회 "오 목사 논문 표절 논란 유감" - 긴급 임시당회 열고 논의...당회, 철저한 진상 규명하기로 | 2013.02.06 |
522 | 개신교인 감소세 둔화, 신앙 의식은 나빠져 - 개신교인 비율 22.5%, 10년 내 조사결과 중 가장 높아 | 2013.02.06 |
521 | "어둠 속 등대 같은 역할에 감사" - 박근혜 당선인, 나라사랑 2013년 신년 특별 기도회 | 2013.02.06 |
520 | [한국인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한국교회 위기 최대 원인은 신앙실천 부족 | 2013.01.30 |
519 | '찬양으로 하나님께 영광돌리고 싶어요' | 2013.01.30 |
518 | 교계, 한반도 평화 통일 캠페인 펼쳐 - 정전협정 60주년 맞아…DMZ 콘서트 등 다채롭게 준비할 듯 | 2013.01.30 |
517 | 부산에 부는 성령의 바람 - WCC 총회 성공 위한 부산 전진대회 | 2013.01.30 |
516 | 한국해비타트 올해 98세대 건축 | 2013.01.30 |
515 | 북한 어린이 도울 '겨례사랑' 출범 | 2013.01.30 |
514 | [2013년 한국교회를 말하다]... 김삼환 목사 인터뷰 - "교회 하나돼 하나님 머슴으로 세계교회를 섬기자" | 201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