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이름, 주소 칸에는 꼭 정자 로 쓰고 절대로 자기칸바깥으로 넘어가지 마셔야 무효가 되지 않는다.
-이름칸에는 면허증이나 여권에 있는 이름과 같은 이름을 정자로 쓰기. 만약 기억이 나지 않으면, 무조건 풀네임을 사용하여 청원서에 서명 해야한다.
-주소는 아래 위로 두칸에 쓰도록 되어있다.
윗칸에는 집 번호(예:1234)와 길 이름(예: Brown Ave.)을 기재하고, 밑의 칸에는 도시(city) 이름과 zip code 만 적으시면 된다.
CA, California 는 적지 마세요.
유권자 등록 주소는 주로 DMV 에 등록된 주소와 같다.
절대로 P.O. Box는 안되며, PO Box 는 전체서명을 무효화 시킨다.
6. 마지막으로 싸인 하기.
싸인은 꼭 본인이 하여야 한다.
혹시라도 노인분들이 글을 쓰지 못할경우, 그분들의 license 를 받아서 그분들이 보시는 앞에서 이름, 주소는 대필해주실수있지만, 싸인만은 그분들이 꼭 하시도록 해야한다.
싸인할때도 절대로 자기칸을 넘어가지 말아야 무효가 안됩니다.
CIRCULATOR 란 작성법:
Circulator 란은 단 한명의 서명자가 있더라도 꼭 완료해야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전체 청원이 무효화 되기에 꼭 complete 해야한다!
1 .유권자 등록된 이름쓰기 잘 모르는 경우, 풀네임 쓰기.
2 .당신이 투표 등록한 카운티이름 쓰기.
예를 들어, LA 면 Los Angeles 라고 쓰기.
3 .당신의 투표 등록 된 거주 주소 전체쓰기.
P.O. 박스는 절대 안됨.
4 ,당신이 서명을 수집 하기 시작한 날짜 쓰기
5 .당신이 서명을 수집 완료한 날짜 쓰기
6. 당신이 청원 양식 전체를 완료한 날짜 쓰기.
3,4,5번의 날짜가 똑 같을수있음.
단지, #6의 날짜가 무조건 가장 늦은 날짜여야 하던지, 아니면, #5와 같은 날짜이든지 해야함.
7. 서명을 받았던 장소, 카운티이름 쓰기.
예: 산호세(Santa Clara County) 거주하는분이 LA 카운티에서 San Diego 카운티 사람들의 서명을 청원서에 받았으면, #2에는 내가 투표등록된 카운티가 Santa Clara 이고 #7에는 내가 서명을 받은 장소 카운티가 LA 이니까 Los Angeles 라고 쓰면된다.
하지만, 그 청원서 한장에는 샌디에고 카운티 사람들서명을 받은것이된다.
따라서, #7은 제3의 또다른 장소가 될수도 있다는뜻아다.
8. 서명(signature)합니다.
만약 싸인이 없다면, 그 청원서는 전체가 무효화 된다!
마지막 단계: 확인 단계를 거쳐주세요.
1. 카운티 이름들이 3군데, 위, 중간, 맨아래 에 기재됬는지.
2. 모든 서명자들이 같은 카운티에서 사는 사람들인지 확인
3. 이름 주소 다 잘 적혔는지 확인하고 PObox 있는지, 잘못된거 있는지 확인
4. 잘못된것, 실수한것은 두라인으로 줄을 그어주세요.
5. Circulator 란의 8칸이 다 기재되었고, 4,5,6번 날짜들이 제대로 기재되었는지.
6. 청원서에 서명하신분들이 몇분인지 count 하시고, count 된 숫자를 tvnext.org@gmail.com 으로 보내주셔서 한인통계를 내도록 도와주세요.
7. 청원서 맨 아래 주소로 완성된 청원서를 부치시면 끝!!
수고하셨습니다.
<끝>
기획기사보기
322 | <정인수 목사 칼럼> 영성 훈련의 계절 | 2014.03.19 |
321 | [박종순 목사의 신앙상담] TV시청이 유일한 낙 채널 놓고 아내와 다퉈 | 2014.03.19 |
320 | [아는게 힘이다!] 오바마케어의 대안책 (상) 문제많은 오바마케어 대신 더 좋은 CMM(Christian Medi-Share)로! | 2014.03.19 |
319 | [조명환의 쓴소리 단소리] '오스카 부흥회' | 2014.03.12 |
318 | <정인수 목사 칼럼> 제도화된 교회에 생명력을 불어 넣으십시오 | 2014.03.12 |
317 | 채식보다 육식 즐기는데 식습관 바꿔야 하나 | 2014.03.12 |
316 | [아는게 힘이다!] 건강한 성교육이란? (하) | 2014.03.12 |
315 | 3.1절을 맞으며 감사해야 하는 이유 | 2014.03.05 |
314 | [조명환의 쓴소리 단소리] ‘무늬만 선교사’가 너무 많아요 | 2014.03.05 |
313 | <정인수 목사 칼럼> 우리는 동역자입니다 | 201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