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전달이다.
좋은 언어 습관은 전달능력을 향상시키고, 듣는 사람들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만든다.
좋은 언어 습관은 설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설교자가 적절하지 않은 용어를 사용하거나 어법에 맞지 않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성도들은 설교에 집중할 수 없다.
강단에서 사용되는 표현 중에 ‘~되어지다’와 같은 이중피동(二重被動)은 불필요한 언어 습관이다.
대표적인 예로 ‘하나님의 은혜로 ○○○이 되어지다’와 같은 표현이다.
‘~되어지다’는 ‘~되다’는 피동(수동) 의미에 ‘~어지다’는 피동형 어미를 중복해서 덧붙인 말로 우리말 어법과 맞지 않는다.
하지만 간혹 설교하는 분이 이미 습관이 돼 이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나뉘어지다’(나뉘다) ‘모여지다’(모이다) ‘믿겨지다’(믿기다) ‘보여지다’(보이다) 등의 말을 반복해 쓰기도 한다.
기독교인이 고쳐야 할 언어 습관 중에 가장 흔한 것이 ‘예배보러 간다’는 말이다.
‘~보러 간다’ 혹은 ‘~보다’는 명사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
‘시험을 본다’는 말은 ‘시험을 치른다’는 의미이고, ‘아기를 본다’는 ‘아기를 보살피고 지킨다’는 의미이다.
‘영화나 연극을 본다’는 관객의 입장에서 구경한다는 의미이다.
‘예배를 본다’는 말 역시 영화나 연극을 본다는 의미와 가장 비슷할 것이다.
그러나 예배는 영화나 연극을 보는 것과는 다르다.
예배는 관객의 입장에서 구경하듯 보는 것이 아니라 예배자로서 찬양과 경배를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예배를 본다’ ‘예배보러 간다’는 말은 ‘예배를 드린다’ ‘예배를 드리러 간다’는 말로 바꿔 사용해야 한다.
언어 습관을 고치는 건 쉽지 않다.
그러나 이중피동과 같은 우리말 어법에 맞지 않는 말을 바로 잡고, 교회용어로 올바른 어휘와 표현을 사용하려는 노력을 포기해선 안된다.
<이상윤 목사(영국 버밍엄대 신학박사)>
전도기사보기
286 | < '이단 예방하는 삼위일체 신앙' 펴낸 소재열 목사 > "교회내 이단 발견 땐 교인 지위 박탈해야" | 2016.04.27 |
285 | "전도는 나를 춤추게 하는 엔돌핀"...'베스트 전도법' 책으로 소개한 정재준 장로 | 2016.06.01 |
284 | "동성애 기독인"있다면, 어떻게 품어야 할까 - '성경이 동성애에 답하다'/케빈 드영/조계광 옮김/지평서원 .... 환영과 거절 사이에서/스탠리 J 그렌츠/김대중 옮김/새물결플러스 | 2016.06.15 |
283 | "탈북여성은 통일 위해 준비된 에스더입니다." | 2016.07.13 |
282 | 거리에서 벌어지는 미국 재부흥운동 - (Revival Movement for America)... ICM, 차세대 한인 `미국재부흥운동 | 2016.07.20 |
281 | 갤럭시 S8 노골적인 동성애 이모티콘 뺐다 - 시민단체 "국민정서 맞지 않는 동성애 이모티콘 즉각 삭제해야" | 2017.05.03 |
280 | 한 교회의 섬김으로 전도자의 삶을 살게 된 "노숙자 이야기" | 2017.05.17 |
279 | 맨하탄에 생명의 능력 전한 ICM 뉴욕 성시화 총력전도 운동 - 미국 재부흥 운동...기도 메세지와 합심통성기도, 거리찬양전도 등 벌여 | 2017.07.26 |
278 | "맛집은 광고 안 해도 찾아오듯 교회도 스스로 말씀 찾게 해야" - '청년부를 부탁해' 세미나 갖는 청년목회자연합 대표 고직한 선교사 | 2017.12.06 |
277 | 예수님께 더 가까이 가지 못하게 하는 소셜미디어의 공통적인 전략들 | 2018.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