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의 바른 정의는 어렵다.
리더십의 질은“그걸 보면 그걸 안다”로 규정된다. 직장상관으로부터 사역자, 대통령까지의 리더십이 평가된다.
바나그룹의 새 조사에 따르면 미국 크리스천 성인들의 5분의4이상 (82%)은 충분한 지도자가 없기에 리더십 위기에 처했다고 본다.
사람들은 지도자의 무엇을 가치로 볼까?
리더십에 대한 크리스천의 관점은 뭘까?
차세대는 딴 종류의 지도자를 찾고 있을까?
리더의 가장 중요한 자질은 뭘까?
브랫 로메닉(캐털리스트컨퍼런스 대표)과 바나의 공동조사에 따르면 참가자의 64%가 건실성 (integrity)을 그 하나로 꼽았다.
그밖에 40%가 진정성(authenticity)을, 38%는 훈련됨(discipline)을 주요 자질로 꼽았다. <도표참조>
사실 위의 세 가지는‘하나님을 위한 열정’(31% 이하)보다 더높이 추켜졌다.
성경이 높이 평가하는 덕목인 겸손(7%)이나 목적의식(5%) 등은 지지도가 희박했다.
반면 복음주의자들의 경우 83%가 열정을 최고 자질로 꼽았고, 건실성은 두번째였다.
그렇다면 한 마디로 신자들은 자기 보스에게서 뭘 추구할까?
건실성(57%)과 진정성(47%)이었다.
그 다음은 협력성/역량/겸허 등이었다.
하나님을 위한 열정은 7번째.
아마도 직장엔 비신자도있기 때문일 것이다.
복음주의자들은 자기 보스가 신앙인이길 가장 희구한다.
18-39세의 젊은 성인들은 자기 직상 상사의 협력성/목적의식/겸허 등을 더 중시한다.
특히 32%가 겸허를 보스됨의 열쇠로 보았다.
미국 성인신자들 58%는 자신을 리더로 본다.
그러나 그들의15%만이 자신의 일차적 리더십 자질은 건실성이라고 봤다.
그밖에 능력(20%), 훈련성(16%), 협력성(15%), 진정성(14%)등을 꼽았다.
겸손을 자신의 두드러진리더십 자질로 꼽은 사람은 1%뿐이다.
이상의 설문조사(2012년 6월 5-11일 실시)는 전국 1,116명의 성인 크리스천들을 상대로 치러졌다. 샘플링의 최대오차는 +2.8%포인트, 신뢰도는 95%.
미국교계기사보기
339 | 美 100대 대형 교회 -기독교 격 월간지, 아웃리치 2만7000곳 조사 | 2013.10.02 |
338 | 남가주 한인 기독교 원로목사회 신임 회장에 유응연 목사 | 2013.09.18 |
337 | 예성 미주지역총회 열고 안수식 신임 총회장에 송영진목사 선출 | 2013.09.18 |
336 | 미국인 66% "의미있는 삶 위해 성경필요" - 미성서협회, 2013 성서현황조사 | 2013.09.11 |
335 | 한미기독교회관 건립 위한 일일식당 열린다. - 10월 14일 15일 이틀동안 LA 시크릿 가든에서 | 2013.09.11 |
334 | 2013 뉴욕 청소년 할렐루야 복음화대회 | 2013.09.11 |
333 | 뉴욕교협 산하 - '이단/사이비 대책협의회' 조직 | 2013.07.31 |
332 | 미주 한인여성 목회자 협의회, 제5회기 이미선 회장 취임 예배 | 2013.07.31 |
331 | ‘토털 리더십 포럼’ - 남가주 지역 목회자 상대, 강사는 김춘근 교수 | 2013.07.31 |
330 | 억압받는 북주민위해 기도해야 - 미의사당에서 진행된 2차 크리스천 북한포럼 및 통곡기도회 | 201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