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선교회 문제로 기독교 대안학교 부정적 인식 커져

 

7면_미인가.JPG

 

IM선교회에서 운영하는 교육시설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불똥이 교회와 기독교 기관에서 운영하는 미인가 대안학교로 튀었다. 

기독교 대안학교 관계자들은 방역 수칙을 잘 지키고도 IM선교회와 함께 '미인가'라는 고리에 묶여 불필요한 오해를 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경기도의 한 미인가 기독교 대안학교의 교사는 1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우리 학교는 기숙형도 아닌 통학형이고, 지방자치단체에 방역 지침을 의뢰할 정도로 철저히 코로나19 수칙을 지켰다"며 "그런데도 정부가 모든 미인가 기독교 대안학교는 방역지침에 협조하지 않는 불법 단체로 몰아가는 느낌"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대안학교는 초중등교육법에 따라 인가받은 시설과 그렇지 않은 미인가 시설로 구분된다. 

인가 시설에는 특정분야의 인재로 양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는 '대안교육특성화학교'와 학업을 중단했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으려는 학생에게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는 '각종학교'가 있다. 

두 유형은 전체 대안교육기관의 20% 정도다. 

나머지 80%는 미인가 대안교육시설이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9년 미인가 대안교육시설 실태조사 연구' 보고서는 미인가 대안학교를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갖는 대신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는 학교로 정의한다. 

다만 지난해 12월 국회에서 '대안교육기관법'이 통과되면서 미인가 대안학교도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보고서는 미인가 대안학교를 639곳으로 추정했다. 

박상진 교육대안연구소장은 "연구소 자체 조사 결과 기독교 관련 미인가 대안학교는 230여곳"이라며 "전체 미인가 대안학교 중 3분의 1이 교회나 기독교 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IM선교회 사태 이후 '종교시설 미인가 교육시설 운영 현황 파악'에 나선 것을 두고 기독교 대안학교 관계자들이 불편함을 드러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문체부가 종교시설이라고는 했지만 사실상 기독교 대안학교를 타깃으로 했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번 기회에 건강한 기독교 교육기관은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 종로구의 미인가 대안학교 '이야기학교'의 장한섭 교장은 "IM선교회 문제로 기독교 대안학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졌지만 자성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고 전했다. 

장 교장은 "일부 교회는 주일학교가 쇠퇴하자 학부모와 학생들을 모으기 위해 교육이라는 콘텐츠를 활용했다"면서 "이 과정에서 기독교 정체성이 사라진 기독교 교육기관들이 성장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기독교 대안학교를 종교시설이 아닌 아이들이 있는 교육시설로 보고 문체부가 아닌 교육부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건강하지 못한 기독교 대안학교를 배제하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박 소장은 "유학 준비와 외국어 교육, 입시위주 교육을 대안학교라는 이름으로 진행하는 곳이 많다"며 "대안교육기관법 시행령 입안 때 이를 배제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교계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