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 종교시설 집단감염 사례조사
지난 해 5월 1일부터 올해 2월 24일까지 10개월 동안 코로나 집단감염 사례를 조사한 결과, 3대 종교 집단감염사례는 모두 54건이었다.
이 가운데 개신교 집단감염 사례는 51건, 2,953명으로 가장 많았다.
천주교 관련은 2건, 불교 법당은 한 건도 없었다.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김상덕 연구실장은 "절대 다수가 개신교 시설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가 됐고, 통계들을 살펴보니까 주로 보수적인 교단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경기가 19건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인천이 6건, 경남, 전북 각각 4건이었다.
교단별 통계로 보면 예장합동총회 소속 교회가 13건으로 가장 많았고, 통합총회와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기하성이 각각 4건이었다.
이어 감리교, 침례교가 각각 3건 순이었다.
최소 5명 이상 집단 감염자가 나온 교회 수를 살펴보면, 50명 이상 발생한 교회는 7곳, 20명에서 49명 이하로 발생한 교회는 20곳, 11명에서 19명은 15개 교회, 10명 이하로 발생한 교회는 9곳이었다.
코로나가 발생한 교회를 교인 수 기준으로 살펴보면, 100명 이하 교회에서는 20건, 100명 이상 500명 이하 교회는 10건으로 나타났고, 500명에서 1000명 이하는 1건, 1000명 이상은 8건으로 나타났다.
발생 시기를 구분해 살펴보면 대구 신천지 집단을 제외한 교회 집단 감염은 주로 2020년 8월 이후 급격하게 늘어났다.
또 신천지 집단에서 발생한 감염사례는
4,714명으로 가장 높았지만 단일한 사건으로 그 이후 반복되지 않아 조사에서는 제외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이 서영교 국회의원실을 통해 질병관리청에 요청해 이뤄진 것으로, 질병관리청 통합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종교시설 집단감염 사례다.
<노컷뉴스>
한국교계기사보기
2077 | 목회자와 교회학교교사 영향줄고 부모와 가정예배 비중 높아졌다 | 2021.07.14 |
2076 | 차별금지법, 소수 위해 다수를 역차별! 한교총 '반대·철회를 위한 기도회' 교계 연합으로 개최 | 2021.06.30 |
2075 | 한장총, 제 13회 한국장로교의 날 | 2021.06.30 |
2074 | 평등법 반대 청원, 91시간만에 10만명 채웠다 | 2021.06.30 |
2073 | 인터콥,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 탈퇴 | 2021.06.30 |
2072 | 크리스천 청소년, "코로나 이후 신앙생활에 어려움 느껴" | 2021.06.30 |
2071 | 한국수도권교회 수용인원30%+백신 접종자 예배가능 | 2021.06.30 |
2070 | 침례교 연합기도회 이동원 목사...가정 회복 강조 | 2021.06.16 |
2069 | 감리교 3개 신학교 통합추진, 감신대, 목원대, 협성대 | 2021.06.16 |
2068 | 개역개정 성경 2035년까지 재개정 추진 | 2021.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