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면_공공의적.jpg

▲ 한국교회 대부분은 코로나19 이후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켰다. 정부에서도 대면예배 자체가 감염위험도를 높이는 행위는 아니라고 인정했다.

 

한국교회가 1년 새 '공공의 적'이 됐다.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 중 하나다. 

온라인상에서 코로나19 관련 기사 댓글을 보면 '개독교'라는 비하 발언은 물론, '죽든지 말든지 교인들 모두 교회 안에 가둬 놓고 못 나오게 해야 한다', '신천지나 교회나 동급' 등 전체 기독교를 대상으로 한 공격적인 표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실제로 목회데이터연구소가 올 초 일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6%는 한국교회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신뢰한다는 응답은 21%에 불과했다. 

 

● 편향된 정부 자료, 종교시설이 타깃? 

 

이 같은 부정적 인식은 정부의 편향된 자료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이후 1년간 누적 확진자 수는 7만3,115명이다. 

종교시설에서 집단 감염된 사람은 5,791명으로 종교시설발 집단감염 비중은 전체 대비 7.7%로 확인됐다.

하지만 지난달 21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년동안 전체 확진자의 45.4%가 집단감염에 의해 발생했다"며 "그 중 종교시설을 통한 감염이 17%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그런데 해당 비중은 집단감염에서 차지하는 것으로 전체에서 일부만 떼어 부각시켰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에서도 해당 보도자료 제목을 ;1년간 코로나19 집단감염이 45.4%…종교시설이 가장 많아'로 잡았다.

정부가 종교시설을 타깃으로 삼았다는 의혹을 피하기 어려운 이유다.정부는 지난해 12월 22일 발표한 자료를 통해서도 종교시설이 집단감염 확산을 부추겼다는 분위기를 조장했다. 

정부는 이날 집단감염 발생 비중을 종교·요양시설 등이 71.2%라고 발표한 반면,실제 28.8%인종교시설 감염 비중은 제외했다.

지난해 11월 22일부터 12월19일까지 4주간 감염비중을 발표하면서 종교시설을 관련이 없는 요양시설과 묶어 전체 비중을 높인 후 가장 앞세워 발표한 것이다.

실제 같은 기간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사업장으로 46건이다. 

의료기관 요양시설이 36건, 종교시설은 32건이다. 

같은 날 대한민국 정책브리핑에는 '1주간 집단 감염 사례, 종교?요양시설 등이 71.2%'를 제목으로 달렸다.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따르면 의료기관, 요양시설, 사업장, 교육시설은 모두 다중이용시설에 속한다. 다중이용시설 감염사례는 125건이다. 

종교시설보다 약 4배 이상 많은 셈이다. 

종교시설과 요양시설을 묶은 의도가 의심이 되는 대목이다.

 

● 받아쓴 언론, 부정 인식 확산 부추겨 

 

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지는 데 언론도 한몫했다. 

정부가 발표한 자료를 검증 없이 그대로 보도했다.

지난달 21일자 '1년간 코로나19 집단감염이 45.4%…종교시설이 가장 많아'라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가 나온 이후 상당수의 언론이 그대로 받아썼다. 

종교시설의 실제 감염 비중이 7.7%이라는 사실을 검증하거나 보도한 언론은 한 곳도 없었다.

뉴스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에 따르면 발표 당일인 1월 21일부터 2월 8일까지 기사 제목과 본문에 '종교시설 17%'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는 21건이었다. 

반면 '종교시설 실제 비중', '교회 실제 비중'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는 한 건도 없었다.

지난해 12월 22일 발표된 보도자료 관련 기사도 마찬가지다.

빅카인즈 분석결과, 지난해 12월 22일부터 올 2월 8일까지 기사 제목과 본문에 '종교 71.2%'라는 단어를 포함한 언론 보도는 총 9건이었다. 

하지만 종교시설의 실제 비중을 언급한 기사는 하나도 없었다.지난해 9월 불교와 천주교 시설에서 처음으로 집단감염이 발생했을 때도 그랬다. 

교회가 아닌 다른 종교시설에서의 집단감염 기사는 지난해 9월 8일 처음으로 보도됐다.

                

<데일리굿뉴스>

한국교계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