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고교교과서왜곡.JPG


검인정 8종 분석보고서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2014년 고교 한국사 교과서가 근현대사에서 개신교 복음 전파와 한국교회의 역할 부분을 잘못 기술하거나 소홀하게 다룬 것으로 나타났다. 

개신교는 우리나라의 근대화, 민주화, 민족운동 등에 크게 기여했는데도 다른 종교에 비해 적은 분량으로 다뤘고 역사적 사실조차 엉터리로 소개한 부분이 많았다.

9일 박명수 서울신대 교수의 ‘개정 한국사 교과서의 기독교 관련 부분 분석과 제안’ 보고서에 따르면 교육부가 임시 배포한 8종 교과서의 전시본을 분석한 결과, 이들 교과서는 대부분 ‘개항 이후 종교’ 부분에서 개정된 집필기준을 반영하지 않고 기독교를 충분히 다루지 않았다.

2011년 12월 교육부가 발표한 한국사 교과서의 관련 집필기준은 기존의 ‘특정 종교에 대해서 편향이 없도록 하고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에서 ‘개신교의 수용과 각 종교의 활동에 대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서술하도록 유의한다’로 바뀌었다.

하지만 한국사 교과서 8종 중 리베르스쿨 출판사의 한국사 교과서만 이 기준을 따랐다. 미래엔 출판사의 교과서에선 천주교의 도입과 발전, 정착 등은 8문장에 걸쳐 서술했으나 개신교의 수용에 대해선 간단히 한 줄만 언급했다.

박 교수는 “천주교와 동학은 그 출발에 대해 상당한 분량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개신교에 대해서도 형평성에 맞게 분량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전에는 특정 종교 편향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집필기준 등을 이유로 개신교를 부실하게 다뤘는데 ‘개신교의 수용’ 부분이 두드러지도록 기준이 바뀐 뒤에도 개선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역사적 사실을 잘못 기술한 부분도 발견됐다. 미래엔 교과서(232쪽)에선 ‘(개신교가) 선교과정에서 민중과 마찰을 빚기도 했지만’이라고 적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민중들은 개신교를 적극 수용했지만 유교양반 계층에서 반대가 심했다.

금성출판사 교과서(278쪽)의 ‘(개신교의) 포교의 자유가 공식적으로 허용된 것은 대한제국 시기에 들어서였다’는 기술도 오류다. 이를 ‘개신교는 공식적으로 포교를 허락받지 않았지만 갑오개혁 이후 널리 인정받아 비교적 자유롭게 전도활동을 할 수 있었다’로 수정해야 한다고 박 교수는 지적했다.

비상교육 교과서(251쪽)는 ‘조선 정부는 선교사 알렌을 고용하여 근대식 병원인 광혜원(이후 제중원으로 개칭)을 열었고’라고 했지만 이도 잘못이다. 

박 교수는 “알렌 선교사는 정부에 고용돼 급여를 받거나 한 게 아니었다”며 “제중원 설립도 알렌 선교사가 정부에 먼저 제안해 받아들여진 것이므로 수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기독교와 개신교, 천주교 등 용어 사용을 둘러싼 혼란도 발견됐다. 

기독교라고 쓰되 천주교와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는 개신교라고 쓰는 게 타당하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박 교수는 “최근 검인정을 받은 8종 한국사 교과서를 이달 말까지 재검정한다고 교육부가 밝힌 만큼 이에 대한 보완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도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