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자 목사 지원 느는데…
안수 여부 교단마다 제각각
[넘어진 가정 세우는 교회] 목회냐 포기냐, 그들의 고민
1997년 독립교회의 첫발을 내디딘 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카이캄·연합회장 송용필 목사)는 지난 21일 50회 목사안수식을 거행했다.
그동안 6000명에 가까운 목사 안수자를 배출한 카이캄은 서류검토 과정에서 특징을 포착했다.
목사 안수 지원자 가운데 이혼을 겪은 이들이 부쩍 늘어난 것이다.
이혼자의 ‘목사 안수’ 지원 쑥
30일 카이캄에 따르면 올해 목사 안수 지원자 157명 가운데 10%가량인 15명이 이혼 경험이 있는 이들이었다.
카이캄의 기획팀장인 박영운 목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7년 전쯤엔 3~4%에 불과했던 이혼 지원자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다가 올해 최고치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카이캄은 이혼 경험이 없는 이들에게만 목사 안수 자격을 부여한다.
하지만 모든 이혼을 원칙적으로 막는 건 아니다. 배우자의 유책 사유(불륜·폭행 등)가 이혼 판결문에 명시된 경우는 제외된다.
‘이혼자 안수’ 교단마다 제각각
본보가 파악한 결과, 이혼 여부에 따른 목사 안수 자격부여는 교단마다 다르다.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고신·합신,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기하성), 기독교대한성결교회(기성), 예수교대한성결교회(예성) 등에서는 이혼한 이들에게 목사 안수 자격을 주지 않는다.
반면 예장합동·통합, 기독교대한감리회, 기독교한국침례회 등의 경우 이혼 여부를 목사 안수 자격의 요건으로 삼지는 않는다.
교계에서는 다른 이들의 영혼을 돌보며 목양하는 목회자가 우선 가정에서 솔선수범하며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다.
가정사역단체 하이패밀리 대표 송길원 목사는 “목회자가 기본적으로 가정을 다스리는 일에 솔선수범하지 못하면서 교회 지도자가 되는 것은 성경에 벗어난 일”이라며 “(이혼 후 영적 상태와 생활 등이) 정리가 안 되고 회복 없이 다른 영혼을 돌본다는 것 자체가 성직을 가볍게 여기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도 가정을 지키지 못하게 된 불가피한 이혼 사유 등을 면밀하게 살펴보는 ‘사전 심사제도위원회’ 등의 제도가 필요하다고 송 목사는 제안했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이혼한 이들에게 선의의 피해가 없도록 장치를 마련해둬야 한다는 것이다.
예장통합 교단의 신학교육기관인 장로회신학대는 입학 선발 과정에서 이혼 경험이 있는 이들의 경우 심층 면접을 진행한다.
임성빈 전 장로회신학대 총장은 “이혼했다는 이유만으로 기회 자체를 원천 봉쇄해선 안 된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다른 이들의 치유자 역할을 하려면 이혼 후 더 성숙한 극복 과정이 있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주변 추천서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들이 넘어야 할 산
이혼에 대한 보수적인 시각이 여전한 한국사회 및 교계 분위기 속에선 이혼을 겪은 신학도나 목회자들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신학대 입학과 목사 안수 과정을 거친 뒤에도 교회 청빙 등의 문턱을 넘기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임 전 총장은 “철저한 회개와 성화 과정의 노력이 공동체에서 수용되는 분위기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혼의 아픔이 오히려 이혼 성도를 보듬는 귀한 도구가 되기도 한다.
문해철(가명) 목사는 배우자의 유책 사유로 이혼한 뒤 조기 은퇴했다.
이후 교회를 개척해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사역하고 있는 그는 “일반 목회 중 이혼 문제가 나오면 메시지를 전할 때 이혼을 품고 수용하는 분위기로 흘러가기 어렵다.
일반 목회는 이런 딜레마가 있기에 특수 목회를 선택했다”면서 이혼 성도에 대한 목양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국교계기사보기
2517 | 30세 여자, 자선냄비에 몰래 넣은 돈뭉치 1500만원 | 2025.01.08 |
2516 | 비상계엄에 무안 참사까지… 고통의 시대, 하나님은 어디 있는가 | 2025.01.08 |
2515 | 소외 이웃, 2025 한국교회에 바란다 “주 안에서 합심… 함께 사는 세상 만들었으면” | 2025.01.08 |
2514 | “새해는 분열과 대립 극복하고 국민 화합 이루는 한 해 되길” | 2025.01.08 |
2513 | 기독교는 4대 종교 중 호감도 꼴찌 | 2025.01.08 |
2512 | 4월 20일 부활절 연합예배 | 2025.01.08 |
2511 | 대전시기독교연합회 신년교례회·구국기도회 | 2025.01.08 |
2510 | 이웃 위해 두 손 모으자… ‘새해를 위한 기도 10가지’ 제안 | 2025.01.08 |
2509 | 기독시민단체들, 탈북민 강제북송 반대운동 확대 | 2025.01.08 |
2508 | 탈북민을 하나님의 용사로… | 2025.01.08 |